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21일 고속교통서비스 확충을 위한 호남고속철도 2단계 및 인천발/수원발 KTX 직결사업 등 3개 사업 6개 공구 노반공사의 시공업체가 선정되었으며, 연내 착공한다고 밝혔다.
신규 고속철도 사업을 통해 고속철도의 이용에 어려움이 있던 인천, 경기 서남부권 및 중부권, 전라남도까지 고속철도의 수혜지역이 크게 확대된다.
‘호남고속철도 2단계(고막원~목포) 건설사업’은 전라남도 무안국제공항을 경유하는 고속신선 건설 사업으로 전남지역의 성장동력 창출,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호남권 지역주민의 고속철도 교통편의 제공을 목적으로 총사업비 2조5,789억원(국고50%, 철도공단50%)을 투입하여 ‘25년 공사 완료를 목표로 추진된다.
고막원~임성리 신설노선은 본선 44.1km, 정거장 1개소(무안공항) 신설을 포함하며, 그 중 금회 착공구간은 기타공사구간(제1,3,6,7공구, L=26.4km)으로 노반공사비 6,653억원이 투입된다. ’25년까지 공사를 완료하면 용산/수서~목포 간 소요시간은 약 2시간 10분으로, 무안공항 접근성 제고 및 무안공항 수요증대 등 전남도 지역주민의 철도/공항이용 편의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발 KTX 직결사업’은 수인선과 경부고속선을 연결하는 사업으로 고속철도 서비스 접근이 어려운 인천·안산·화성지역에 KTX 열차 직결운행을 통한 고속철도 서비스 추가 제공을 목적으로 시행되는 사업이다. 총 사업비는 4,238억 원(기존선개량 국고100%, 신설 국고50%, 철도공단50%)이 투입된다.
‘24년까지 공사를 완료하면 송도~부산 간 소요시간은 약 2시간 20분, 송도~목포 간 약 2시간 10분 소요될 예정이며, 그동안 KTX를 이용하기 위해 서울, 광명 등을 찾아야 했던 인천·안산·화성시민들의 불편이 해소될 전망이다.
한편, ‘수원발 KTX 직결사업’은 경부선과 수도권고속철도를 연결하여 고속철도 서비스 접근이 어려운 수원을 비롯한 수도권 동남부지역에 고속철도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한 사업으로, 총 사업비는 2,772억 원(기존선개량 국고100%, 신설 국고50%, 철도공단50%) 투입된다. `24년까지 공사를 완료하면, 수원~부산 간 소요시간은 약 2시간 10분, 수원~목포 간 소요시간은 약 2시간 10분 가량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사업을 통하여 ‘25년까지 7조 2,084억 원 가량의 생산유발*과 6만 628명의 고용 유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김선태 철도국장은 “그동안 고속철도 이용에 불편과 어려움이 있던 지역에 신규 고속철도를 건설함으로써 철도이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확대시키고 이용시간을 단축시키게 되었다”면서, “전국 고속철도망 확대를 통해 철도이용자의 교통서비스 향상은 물론 지역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별첨 1 | | 호남고속철도, 인천발/수원발 KTX 열차운영 |
□ 호남고속철도, 인천발/수원발 전체 노선 모식도
|
① 호남고속철도 노선 약도
|
② 인천발 KTX 노선 약도
|
③ 수원발 KTX 노선 약도
|
□ 시간단축비교
① 호남고속철도 2단계(고막원~목포)
구 분 | 1단계 (용산/수서~광주송정) | 2단계 (광주송정~목포) | 운행시간 (용산/수서~목포) | 시간 단축 | 비고 | |
KTX (용산하행) | 기존 | 약 96분 | 약 37분 | 약 133분 | - | KTX 525 (나주정차) |
사업시행 | 약 96분 | 약 35분 | 약 131분 | 약 2분 | 나주,무안공항정차 | |
SRT (수서하행) | 기존 | 약 96분 | 약 37분 | 약 133분 | - | SRT 659 (나주정차) |
사업시행 | 약 96분 | 약 35분 | 약 131분 | 약 2분 | 나주,무안공항정차 |
※ (기 존) 용산(수서)-광주송정-나주-목포 : 133분 (KTX525, SRT659, '20.12.4.현재)
(사업시행) 용산(수서)-광주송정-나주-무안공항-목포 : 131분(2분 단축)
② 인천발 KTX 직결사업
구 분 | 운행시간 | 시간단축 | 비고 | ||||
경부선 | 기존 | 광명~부산, KTX | 약 246분 | - | 대중교통 환승 | ||
수서~부산, SRT | 약 264분 | - | 대중교통 환승 | ||||
사업시행 | 송도~부산, KTX | 약 149분 | 약 96~124분 | | |||
호남선 | 기존 | 광명~목포, KTX | 약 225분 | - | 대중교통 환승 | ||
용산~목포, KTX | 약 266분 | - | 대중교통 환승 | ||||
사업시행 | 송도~목포, KTX | 약 130분 | 94~135분 | |
③ 수원발 KTX 직결사업
구 분 | 운행시간 | 시간단축 | 비고 | ||||
경부선 | 기존 | 수원~부산, KTX | 약 163분 | - | | ||
사업시행 | 수원~부산, KTX | 약 135분 | 약 28분 | | |||
호남선 | 기존 | 수원~목포, ITX | 약 249분 | - | | ||
수원~목포, 무궁화 | 약 271분 | - | | ||||
수원~천안아산~목포 | 약 187분 | - | 새마을, KTX 환승 | ||||
사업시행 | 수원~목포, KTX | 약 130분 | 약 57~141분 | |
별첨 2 | | 호남고속철도2단계 및 인천발/수원발 KTX 사업현황 |
□ 호남고속철도 2단계(고막원~임성리구간) 사업현황
ㅇ 사업내용 : 고막원~임성리 고속신설 44.1km, 정거장 1개소 신설(무안공항)
※광주송정~고막원(L=25.9km) 고속화완료(‘20.6월), 임성리~목포(L=7.3km) 기존선 활용
ㅇ 사업기간 : 2006~2025년
ㅇ 총사업비 : 10조6,931억원 (2단계 광주송정~목포구간 2조5,759억원)
구 분 | 합 계 | 호남고속1단계 | 호남고속2단계 | |
오송∼광주송정 (완료) | 광주송정~고막원 (고속화개량완료) | 고막원~임성리 (금회신설) | ||
총사업비 | 10조6,931억원 | 8조1,173억원 | 1,882억원 | 2조3,877억원 |
ㅇ 금회 기타공사구간(1,3,6,7공구) 사업추진 상세
구 분 | 합계 | 연장 | 공사금액(억원) | 설계사 | 시공사 |
기타 공사 | 1공구 | 6.8km | 1,830 | ㈜동일기술공사 | ㈜포스코건설 |
3공구 | 6.0km | 1,354 | ㈜케이알티씨 | 두산중공업㈜ | |
6공구 | 5.6km | 1,483 | ㈜동명기술공단 종합건축사사무소 | 현대엔지니어링㈜ | |
7공구 | 8.4km | 1,986 | ㈜삼보기술단 | 삼부토건㈜ | |
기타공사 합계 | 26.4km | 6,653 | - | |
※ 기본설계 기술제안(2,4,5공구, 17.7km)구간 실시설계 후 ‘21년 6월 착공 예정
□ 인천발 KTX 사업현황
ㅇ 사업내용 : 본선 7.38km(연결선 단선병렬 신설 6.15km, 기존선 구간 1.23km),
정거장 3개소 개량(수인선 송도역, 어천역, 안산선 초지역)
ㅇ 사업기간 : 2016~2024년
ㅇ 총사업비 : 4,238억원
구 분 | 연결선 신설 | 기존선 개량 | 비 고 |
건설비(억원) | 2,524 | 1,714 | 계 : 4,238 |
재원분담 (국고 : 공단) | 50% : 50% | 100% : 0% | 국고 : 2,976 공단 : 1,262 |
ㅇ 설계사 : 동명기술공단(40%), 서현기술단(30%), 태조엔지니어링(30%)
ㅇ 시공사 : 두산건설㈜ (공사비 1,407억원)
□ 수원발 KTX 사업현황
ㅇ 사업내용 : 본선 9.99km(연결선 신설 9.42km, 기존선 구간 0.57km),
정거장 3개소 개량(경부선 수원역, 서정리역, 수서평택고속선 지제역)
ㅇ 사업기간 : 2016~2024년
ㅇ 총사업비 : 2,772억원
구 분 | 연결선 신설 | 기존선 개량 | 비 고 |
건설비(억원) | 2,356 | 416 | 계 : 2,772 |
재원분담 (국고 : 공단) | 50% : 50% | 100% : 0% | 국고 : 1,594 공단 : 1,178 |
ㅇ 설계사 : 케이알티씨(45%), 신성엔지니어링(15%), 유신(20%), 도화(20%)
ㅇ 시공사 : ㈜한화건설(공사비 1,137억원)
별첨 3 | | 호남고속철도 및 인천발/수원발 KTX 노선도 |
|
별첨 4 | | 고속철도 사업별 노선약도 |
□ 호남고속철도2단계(고막원~목포) 건설사업
|
□ 인천발 KTX 직결사업
|
□ 수원발 KTX 직결사업
|
별첨 5 | | 호남고속철도 및 인천발/수원발 KTX 노선 영향권 범위 |
|
별첨 6 | | 고속철도 무안국제공항역(가칭) 조감도 |
별첨 7 | | 고속철도 추진경위 |
구분 | 사업명 | 구간 | 연장 (km) | 착공 | 개통 | 총사업비 (억원) | 비고 |
운영 | 경부고속철도 1단계 | 서울∼동대구 | 238 | ‘92.6 | ‘04.4 | 127,377 | |
경부고속철도 2단계 | 동대구∼부산 | 169 | ‘02.6 | ‘10.11 | 82,368 | | |
호남고속철도 1단계 | 오송∼광주송정 | 182 | ‘09.5 | ‘15.4 | 81,173 | | |
호남고속철도 2단계 | 광주송정∼고막원 | 26 | ‘16.12 | ‘19.6 | 1,882 | | |
수서평택고속철도(수서∼평택) | 수서∼평택 | 61 | ‘11.5 | ‘16.12 | 30,583 | | |
금회 착공 | 호남고속철도 2단계 | 고막원∼목포(임성리) | 51 | ‘20.12 | ‘25.12(예정) | 23,877 | |
인천발 KTX 직결사업 | 어천∼경부고속선 | 6 | ‘20.12 | ‘24.12(예정) | 4,238 | | |
수원발 KTX 직결사업 | 서정리∼지제 | 9 | ‘20.12 | ‘24.12(예정) | 2,772 | |